# 야생초 편지 #
사실 내가 본격적인 산행을 시작하기전인 10여 년 전 만해도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이래야
그저 꽃은 예쁘고 향기롭다느니, 새소리는 우리의 마음을 즐겁게 해준다느니 정도로 밖에 별다
른 특별한 느낌을 갖지 못했었다.
하지만, 산행의 연륜이 점점 쌓여지고 덩달아 내 나이도 늘어감에 따라 비로소 산과 바다와
들 등 온갖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장엄한 대자연의 행위예술에 대하여 하나하나 느낌표가 붙
기 시작했다.
그렇다. 오늘 역시 자연과 더불어 우뚝 솟아있는 모락의 정상을 정복하고 뿌듯한 성취감에 빠
졌었으며 동시에 자연이 내게 전해주는 양질의 자양분을 마음껏 섭취한 하루였다. 한결 정갈
해진 몸과 마음으로 다시 일상으로 돌아와 책 속을 거닐었다.
단숨에 읽어버리기에는 너무 아깝고 아쉬워했을 소중한 책, 그래서 간밤에 아껴 접어 두었던
"야생초 편지"를 마저 읽는 시간을 갖기로 했다.
들풀향기 가득한 생명의 지침서, 이 해인 수녀님의 추천의 글제가 말해주 듯 암울했던 한 시대
에 10여 년의 억울한 감옥살이를 마다하지 않고 야생초와 더불어 보내야했던 양심수 '황대권'이
누이동생에게 보내는 옥중서신이다.
이른바 국가기관에 의해 조작된 '유학생 간첩단 사건'에 연루되어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꿈 많은
30대를 감옥에서 보내고 그가 세상에 다시 돌아올 때는 어느새 중년의 나이가 되어 있었다. 무려
13년 2개월 동안이나 억울한 감옥살이를 해야했지만 이 책 속에서 그는 그저 그 사실을 담담하게
받아들이고 있었다.
오히려, 그는 그 긴 세월동안 야생초를 만나게 해줘 고맙다는 뜻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이념적 편린
을 떠나서 우리를 한없이, 한없이 미안스럽게 하고 있다. 이 편지에서 그는 처음엔 자신의 만성
기관지염과 요통, 치통을 고쳐 보려고 풀을 뜯어먹다가 이내 야생초에 반해서 야생초 연구가가 되
었다고 한다.
"풀은 내 자신의 일부이다"
지상에 존재하는 35만 여의 식물종 중에서 우리 인간이 먹는 것은 불과 3천여 종으로 나머지 34만
여 종은 잡초로 불리어 몹시 안타깝다는 그는 그것은 엄격히 말해서 잡초가 아니라 야초일 뿐이라고
설파하고 있다.
식물에 대해 무지했던 우리의 시각을 한 차원 업그레이드 시켜 준 야생초 편지, 자신이 직접 그린
생생한 그림과 함께 소개된 이 편지는 오롯이 체험을 통해서 나온 말이지 결코 머리에서 나온 말이
아닐 것이다. 그러기에 우리는 이 편지를 더욱 소중하게 생각하는지 모른다.
『내가 야생초를 좋아하는 이유는 내 속의 교만을 다스리고자 함이다. 화려하게 꽃을 피우는 야생초
라도 가만히 들여다보면 그렇게 소박할 수가 없다. 자연 속에는 생존을 위한 몸부림은 있을지언정 남
을 우습게 보는 교만은 없다.』
- 본문 중에서......
그렇다. 그것은 언제나 화려하고 유치찬란한 것만 추구하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진정 자기 색
깔이 무엇인지 일러주는 값진 목소림에 틀림없었으며 매우 사소한 풀 한 포기라도 제대로 바라보는 일
을 통해 온전한 자기 성찰과 함께 전혀 다르게 세상을 바라보는 법을 일깨워 주고 있는 것이다.
책의 말미 부분에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.
"이담에 사회에 나가면 공터를 몇 백 평 마련하여 봄에서 가을까지 계속하여 야채와 식용 야생초
씨앗을 뒤섞어서 마구 뿌려 농사를 짓되, 내다 팔 것이 아니라 자급자족용으로서의 농사를 지을 것이다".
절묘하게도 이 부분에서만은 모처럼 나의 생각과 맞아떨어졌다. 어차피 정년퇴직 후에는 나 자신도
자급자족용 농사를 짓는 꿈을 갖고 있었으니 말이다. (물론 야생초를 재배할 생각은 꿈도 못 꾸었지만)
그래서인지 이 책은 읽는 동안 내내 끝까지 각별한 슬픔을 뛰어넘어 아릿한 감동이 가슴속 깊이
저미는 듯했다. 이 자리를 빌려 나를 아는 모든 이들에게 필독을 권한다.
'나의 문학세계 > 자작 글 모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달맞이꽃 사랑... (0) | 2009.08.24 |
---|---|
책의 향기(NQ로 살아라..) (0) | 2009.05.24 |
임오년 한 해를 보내면서... (0) | 2009.05.24 |
글을 쓴다는 것... (0) | 2009.05.24 |
트랜지스터 시대의 우상, 국민 어나운서 이 광재. (0) | 2009.05.24 |